【의회신문=심백강 박사】퇴계전서, 율곡전서, 조선왕조실록 등 한국의 주요 고전들을 번역한 국내 굴지의 한학자이자 한·중고대사를 전공하고 중국에서 역사학박사 학위를 받은 역사학자인 저자 심백강 선생은 '잃어버린 상고사 되찾은 고조선'에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포함되지 않은 고조선의 비자료, 사대 식민주의자들이 밝히기를 꺼린 채 감추어 왔던 ‘고조선의 숨은 자료’들을 새롭게 밝힌다. 본지에서는 영원히 잃어버린 줄 알았던 위대한 고조선의 역사와 의미, 그리고 남은 과제에 대해 5회에 걸쳐 살펴본다. <편집자 주>

왜 고조선을 되찾았다고 말하는가

잃어버린 고조선사를 되찾았다고 말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고조선 사료들을 한중일 삼국이 모두 인정하는 ≪사고전서≫에서 찾아냈기 때문이다.

≪사고전서≫에서 찾아낸 사료들은 중국 송나라 시대 이전의 것들로서 편찬연대가 ≪삼국사기≫,≪삼국유사≫보다 앞선다. 이를 통해 숨겨져 왔던 고조선의 자료들이 새롭게 밝혀짐으로써 우리의 위대한 요서고조선의 역사가 베일을 벗고 모습을 드러냈다.

‘조선하’와 고조선

≪무경총요≫는 북송 때 편찬한 중국 최초의 관찬병서(官撰兵書)다. 산천, 지리와 관련된 내용을 상세히 기술하고 있어 당시 송나라가 처한 지리적 역사적 상황을 살피는 데 매우 귀중한 참고자료가 된다.

여기서 주목할 사항은 연경, 즉 지금 북경의 지리를 설명하는 내용 가운데 조선하라는 이름이 등장한다는 것이다.

당시 요나라 수도 중경은 오늘날의 내몽고자치구 적봉시 영성현에 자리잡고 있었다. ‘연경에서 요나라 수도 중경에 가려면 먼저 조선하를 건너서 간다’고 이 책은 기록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 조선하는 오늘날의 어떤 강을 가리키는 것일까.

≪무경총요≫의 기록에 따르면 조선하는 고북구 서쪽에 위치해 있었다. 중국 지도상에서 찾아보면 조하가 고북구의 서쪽에 있다. 오늘의 조하가 송나라 때는 조선하로 불렸다는 증거가 된다. 조선하가 압록강 이남 지역의 평양이나 서울 일대가 아닌 북경 부근에 있었다는 것은 고대의 조선은 한반도가 주무대가 아니라 깊숙이 중원의 요서 지역에 자리하고 있었던 사실을 단적으로 증명한다.

≪무경총요≫는 잃어버린 요서 고조선의 역사를 되찾게 해준 매우 귀중한 자료라고 하겠다.
조선하의 기록은 ≪왕기공행정록≫에도 보인다. 이는 왕증이라는 인물이 송나라 특사로 요나라에 가며 중간 경유지를 일정표 형식으로 기록한 내용이다.

왕증은 송나라 왕조에서 직사관, 사관수찬 같은 벼슬을 역임하며 역사편찬에 직접 관여하기도 한 인물로, ‘조선하의 별칭이 칠도하이며 이를 건너서 고북구에 당도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시기는 좀 뒤지지만 ≪석진지집일≫에도 조선하와 습수가 등장한다. ≪석진지집일≫은 원나라 말엽 학자 웅몽상이 원나라 수도 즉 오늘의 북경에 대해 기술한 책으로, ≪무경총요≫나 ≪왕기공행정록≫과 기록이 일맥상통한다.

잃어버린 고조선사를 되찾았다고 말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고조선 사료들을 한중일 삼국이 모두 인정하는 ≪사고전서≫에서 찾아냈기 때문이다.

≪사고전서≫에서 찾아낸 사료들은 중국 송나라 시대 이전의 것들로서 편찬연대가 ≪삼국사기≫,≪삼국유사≫보다 앞선다. 이를 통해 숨겨져 왔던 고조선의 자료들이 새롭게 밝혀짐으로써 우리의 위대한 요서고조선의 역사가 베일을 벗고 모습을 드러냈다.

≪무경총요≫는 북송 때 편찬한 중국 최초의 관찬병서(官撰兵書)다. 산천, 지리와 관련된 내용을 상세히 기술하고 있어 당시 송나라가 처한 지리적 역사적 상황을 살피는 데 매우 귀중한 참고자료가 된다.

여기서 주목할 사항은 연경, 즉 지금 북경의 지리를 설명하는 내용 가운데 조선하라는 이름이 등장한다는 것이다. 당시 요나라 수도 중경은 오늘날의 내몽고자치구 적봉시 영성현에 자리잡고 있었다. ‘연경에서 요나라 수도 중경에 가려면 먼저 조선하를 건너서 간다’고 이 책은 기록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 조선하는 오늘날의 어떤 강을 가리키는 것일까. ≪무경총요≫의 기록에 따르면 조선하는 고북구 서쪽에 위치해 있었다. 중국 지도상에서 찾아보면 조하가 고북구의 서쪽에 있다. 오늘의 조하가 송나라 때는 조선하로 불렸다는 증거가 된다.

조선하가 압록강 이남 지역의 평양이나 서울 일대가 아닌 북경 부근에 있었다는 것은 고대의 조선은 한반도가 주무대가 아니라 깊숙이 중원의 요서 지역에 자리하고 있었던 사실을 단적으로 증명한다.

≪무경총요≫는 잃어버린 요서 고조선의 역사를 되찾게 해준 매우 귀중한 자료라고 하겠다. 조선하의 기록은 ≪왕기공행정록≫에도 보인다. 이는 왕증이라는 인물이 송나라 특사로 요나라에 가며 중간 경유지를 일정표 형식으로 기록한 내용이다.

왕증은 송나라 왕조에서 직사관, 사관수찬 같은 벼슬을 역임하며 역사편찬에 직접 관여하기도 한 인물로, ‘조선하의 별칭이 칠도하이며 이를 건너서 고북구에 당도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시기는 좀 뒤지지만 ≪석진지집일≫에도 조선하와 습수가 등장한다. ≪석진지집일≫은 원나라 말엽 학자 웅몽상이 원나라 수도 즉 오늘의 북경에 대해 기술한 책으로, ≪무경총요≫나 ≪왕기공행정록≫과 기록이 일맥상통한다.

 

▲ 청나라 오임신이 저술한 <회도산해경광주> <산해경>은 한나라 이전인 선진(先秦) 시대의 사료로 동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지리서다. 이 책 '해내경' 편에 고조선의 위치가 기록되어 있다. 심 원장은 "중국의 여러 학자들이 '해내경'은 조선기’(朝鮮記)라고 했는데, 고조선사와 관련된 직접사료를 확보한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기’와 고조선

고대사는 사료가 생명이다. 고조선사가 실제 역사가 아니라 만들어진 신화라는 허튼 소리가 나오는 이유도 사료의 빈곤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산해경≫은 동아시아에서 지리를 전문으로 다룬 가장 오래된 책이다. 청나라 때 학자 오임신은 ≪산해경광주≫라는 ≪산해경≫에 대한 주석서를 펴냈는데, 이를 보면 고조선사와 관련해 매우 중대한 사실이 언급되어 있다. ≪산해경≫에 나오는 해내경과 대황경이 모두 ‘조선기’, 즉 고조선의 역사를 기술한 ‘고조선사기’라는 것이다.

오임신이 해내경에 대해 설명하면서 대황경과 해내경을 모두 조선기로 간주했는데, 이는 송나라 나필이 지은 ≪노사≫의 주석을 인용한 것이다. 인용하였다는 것은 오임신 역시 그러한 견해에 동의하였음을 반영한다.

중국의 다른 여러 문헌들에서도 그와 같은 견해들을 확인할 수 있다. ≪설략≫, ≪광박물지≫, ≪산서통지≫, ≪지유≫, ≪산대각주초사≫, ≪의요≫, ≪명의≫, ≪강한총담≫ 등이 해내경을 ‘해내조선기’ 또는 ‘조선기’라고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해내경은 조선국에 대한 설명으로 서두가 시작되며, 대황경은 소호국, 군자국, 백민국, 숙신씨국과 함께 요임금, 순임금, 치우 등에 대해 다루고 있다. 전체 내용상으로 볼 때, 고조선 사람이 고조선의 건국 이전과 이후의 역사를 직접 기록한 ‘고조선사기’라고 보아 큰 무리가 없다.

대황경과 해내경이 ‘조선기’가 확실하다면, 우리는 상고사연구에서 사료의 빈곤이라는 난제에서 벗어나게 된다. 잃어버린 고조선의 실체를 되찾는 일이 꿈이 아니라 현실로 다가오게 된 것이다.


【저자소개】심백강 | 역사학 박사·민족문화연구원장

퇴계전서, 율곡전서, 조선왕조실록 등 한국의 주요 고전들을 번역한 국내 굴지의 한학자이자 동양학자이다. '이야기로 배우는 동양사상'으로 동양사상 대중화에 크게 기여했으며 '사고전서'를 바탕으로 한 역사연구서를 펴내 한국고대사 연구의 새장을 열었다.

저작권자 © 의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