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회신문】국립중앙박물관이 2013년부터 벌인 금동불상 조사 사업의 결과를 담은 '불교조각 조사보고 2'가 나왔다. 금동아미타삼존불상과 금동관음보살좌상 1구 등 사진 4점, 3D 스캔 사진과 실측도면, 복장물(腹藏物)의 기초 자료, 성분 분석 결과 등을 수록했다.

금동아미타불좌상, 금동관음보살입상, 금동대세지보살입상은 서로 양식적으로 유사하고 인상이 비슷해 일괄 제작됐을 것으로 추정됐다. 그러나 박물관으로 입수된 경위가 달라 판단에 제한이 있었다.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불교조각 조사보고 2
복장물과 금속 성분 분석을 통해 세 점이 같은 공방에서 일괄로 조성된 삼존상임을 확인했다. 보살상의 복장물을 조사한 결과 삼존불의 제작과 복장물 납입은 1333년 이뤄졌다. 불상 제작의 주요 발원자는 장현과 처 선씨이고 복장물 납입에는 김진, 이겸 등 고위 관료를 포함한 수백명이 참여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조선 초기에 제작됐을 가능성이 높은 금동관음보살좌상에서는 ‘조상경(造像經)’의 내용을 충실히 따라 납입된 후령통(喉鈴筒), 진언(眞言), 직물 등 복장물이 발견됐다. 이 중에는 조선 전기 직물 편과 조선 후기 직물 편이 모두 포함돼 있다. 복장물을 최소한 두 차례, 즉 15세기와 17세기에 납입한 것을 알 수 있다.

보고서에는 4점의 불상 안에서 발견된 복장물에 대한 상세한 기술과 직물류, 목재와 유기물 분석 결과를 포함한 조사 내용이 실렸다.

저작권자 © 의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